본문 바로가기
잡다구리

축의금 기준 알아보기 (친구, 직장동료)

by Mmmin 2023. 2. 7.
반응형

오늘은 나이가 먹을수록 자주 하게 되는 고민, 하지만 그럴 때마다 기준을 모르겠는 영원한 문제인 축의금 기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극히 개인적인 기준이 있으니 참고만 해주시기 바랍니다.

 

 

축의금 기준 썸네일 사진

 

축의금 기준

인터넷 커뮤니티 글에서도 축의금을 얼마해야하는지에 대한 궁금증이 있는 글들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친한 친구부터 친하지 않은데 청첩장은 받은 애매한 경우, 직장 동료, 직장 상사 등 축의금의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항상 고민하게 됩니다.

축의금 기준에 명확한 정답은 없습니다. 내 지갑 사정에 맞춰서, 혹은 같이 무리가 있는 친구라면 금액을 상의하고 동일하게 내는 것도 방법이 게 되겠습니다.

결혼식 축의금 기준은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상대방에게 예의만 갖추는 정도의 축의금을 내도 될 것입니다. 나중에 내가 결혼하면 어차피 돌려받게 되는 금액이라고 가볍게 생각하면 축의금 낼 때 고민하느라 머리 아플 일도 줄어들겠지요.

 

 

*** 결혼식에 참석하면 10만 원! 안 간다고? 그럼 5만 원

 

결혼식 축의금으로 가장 보편적인 금액은 얼마일까요? 바로 10만 원입니다. 비싸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치솟는 물가와 더불어 결혼식 식대 또한 무섭게 올라가고 있습니다. 호텔식 결혼을 할 경우 최소 5-6만 원에서 최대 20-30만 원 까지도 한다고 하니 이전 3만 원, 5만 원을 축의금으로 내는 문화는 많이 사라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통계청 수치에 따르면 2022년도 3분기 전국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대비 6%가량 상승했습니다. 이 지표만 보아도 2022년도의 5만 원과 올해 2023년의 5만원은 많이 다를 수 밖에 없는게 현실입니다. 요즘 많이 들리는말로는 "축의금으로 5만원 낼 거면 눈치껏 결혼식에 가지 않고 축의금만 따로 보내야 회사에서 욕을 안 먹는다"라는 말들도 나오고 있습니다.

 

결혼정보회사 듀오에서 실시한 미혼남녀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을때 자신이 생각하는 축의금의 적정금액5만 원이등 평균으로 따지자면 약 7만 9천 원의만9천원의 축의금으로 조사되었다고 합니다.

 

 


 

- 축의금 친구 기준

  • 주기적으로 만나고 친밀한 관계가 유지되고 있는 친구일 경우 : 20만 원~30만 원
  • 나에게 청첩장 준 당사자의 부모님께서 내 이름을 알고 있는 경우 : 20만 원~30만 원
  • 10 이상된 동네 절친 : 30만 원만원 이상 / 가전제품 선물 / 마음 가는 대로
  • 연락 없다가 결혼할 때 돼서 갑자기 청첩장 띠가 주는 경우 : 0원 + 욕
  • 명절 때나 생일 때 한 두 번 안부를 묻지만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닌 사이버 친구 : 참석하지 않아도 됨, 마음에 걸리면 3만 원
  • 그다지 엄청 친하진 않지만 sns로는 활발하게 소통 하는 친구 : 참석하고5만 원, 여유가 된다면 10만 원

 

 

- 축의금 직장 동료 기준

  • 일면식도 없고 이름도 모르는데 내 책상에 청첩장만 올려놓은 경우 : 참석하지 않고 3만 원 ~ 5만 원
  • 엘리베이터나 로비에서 가끔 인사하는 얼굴만 튼 경우 : 참석 자유, 5만 원
  • 같은 팀인데 친하지 않은 경우 : 참석자유, 5만 원~10만 원
  • 같은 팀 동료로 나와 점심을 자주 먹고 꽤 친밀한 경우 : 15만 원~20만 원, or 적절한 선물
  • 나의 직속 상사이거나 평소 나에게 도움을 많이 주는 선배일 경우 : 15만 원~30만 원만원~30만원 or 적절한 선물

 

 

- 축의금 친척 기준

  • 친척에 비해 내가 상대적으로 경제적인 여유가 있다 : 15만 원 - 20만 원 이상
  • 자신이 결혼 당사자 친척보다 손위이거나 지위가 높다 : 15만원 - 20만 원 이상
  • 서로 왕래가 거의 없는데 초대를 받은 경우 : 10만원
  • 아주 가까운 친척일 경우 : 30만 원 이상

 

 

축의금 기준 외에도 직장 동료나 여러 상황에 따라 결혼식을 갈지 안 갈지 또한 기준을 세워봤습니다. 매일 봐야 하는 직장 동료나 직속 선배의 결혼식이나 부조금 등은 자칫 잘못하면 회사 내에서 껄끄러운 일이 생길 수 있고 앞으로의 평탄한 회사 생활을 위해 사이가 엄청 나쁘지 않은 관계라는 것을 기준으로 설정해 보았습니다. 웬만하면 10만 원 이상 하는 게 심상에 좋습니다.

 

축의금은 절대적인 값이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내가 생각하는 당사자와의 친밀도와 내 주머니 속 사정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해 보고 기준을 세워보시길 바랍니다. 위에 설정값은 글쓴이의 지극한 개인적인 기준이므로 참고만 해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